본문 바로가기

먹토리

자취요리 간단 콩나물국 끓이기

728x90
반응형

 

오랜만에 집에서 간단하게 요리(?)해서 먹는 것같네요. 요즘 이런저런 일 덕분에 밖에서 먹거나 간단히 집에서 라면만 끓여 먹는 일이 많았었는데요.

몇일 전 저녁 약속 미팅이 파토가 나는 바람에 사무실에서 일찍 퇴근하고 마트에서 저녁거리를 사러 갔었답니다. 본래 대패삼겹살이나 사서 집에서 김치랑 볶아 먹으려다가, 콩나물이 제 눈앞에서 너무 아른거려 덜컥 구매하였습니다.

한 봉다리에 500원. 싸죠? 콩나물은 싸긴 하지만 생각보다 양이 많아서 끼니를 집에서 잘 챙겨 먹지 않는 사람에게는 부담스러운 양이라 늘상 반은 상해서 버리기 때문에 잘 사먹지 않았었는데요.

너무 안먹은지가 오래되어서 그런지 눈에 너무 아른거려서 사왔답니다.

그리고!! 간단 콩나물국과 콩나물볶음라면을 저녁에 해서 먹었었쥬.

먼저, 콩나물국 육수를 만들어야겠죠. 그냥 콩나물만 데쳐서 해도 되겠지만, 저는 과학의 힘을 빌렸습니다.

짜잔! 마법의 가루! 어느 집에나 다 있으시죠??ㅎㅎ

소고기육수가루보다 전 해산물가루를 선호한답니다. 주로 어묵탕에 많이 쓰죠.

간단자취요리 답게 물이 끓기도 전에 바로 부어놓습니다. 물이 끓으면서 알아서 풀리겠죠.

콩나물 육수가 팔팔 끓는 동안 콩나물국끓이기에 넣을 재료들을 손질합니다.

봉다리에서 콩나물을 일부 꺼내어 살짝 헹궈주며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 해주며, 냉장고에 있는 재료들을 꺼냈습니다. 파는 미리 손질해서 얼려있던 것을 꺼냈고, 양파는 손질하고. 땡초도 얼려 놓은게 있었네요.

다른 재료들은 없어도 상관없는데, 개인적으로 콩나물국 끓이기에서 다진마늘은 빠지면 안된다고 생각해요.

(사진속의 파와 양파는 볶음라면용도 함께 손질해서 양이 많아요.)

물이 끓으면 콩나물을 넣습니다.

생각보다 콩나물의 양이 많네요. 그래도 괜찮아요. 건더기 많은 콩나물국이 될뿐이예요. 간단자취요리 에서는 양조절이란게 없어요. 눈대중으로 하는 거예요.

숨이 점점 죽어가는 콩나물

숨이 어느정도 죽으면 다진마늘을 넣어줍니다. 휙휙 좀 휘저어 줍니다.

 

액젓 한스푼 넣어주고 소금으로 간을 맞춰요. 짜지 않도록 소금은 조금씩 넣어줘요.

간 어느정도 맞췄으면 남은 재료들을 넣어줍니다.

저는 파와 양파 땡초를 넣었어요. 1~2분 콩나물국 더 끓여주고 불을 꺼주면 끝!

콩나물볶음라면할동안 잠시 가스레인지에서 빼넣고 양파의 숨도 열기로 죽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국그릇에 담아주면 끝!!

간단 콩나물국 끓이고 볶음라면으로 저녁 뚝딱 해결했네요.

볶음라면이야 본래 주특기이고, 콩나물국 끓이기는 정말 오랜만인데요. 오랜만에 먹어서 그런지 술도 술술 들어가고 좋았답니다. 콩나물도 듬뿍 넣어서 씹는 맛도 즐기고 나이스하네요.

728x90
반응형